퇴직금 실수령액 실업급여 계산기

🧾 퇴직을 위한 계산기

퇴사 전 확인해야 할 3대 계산기! 퇴직금, 실수령액, 실업급여까지 한 번에 계산하고 세금과 공제 항목까지 확인하세요.

퇴직금 계산기

퇴직금을 계산하려면 입사일, 퇴사일, 그리고 1일 평균임금을 입력해 주세요. 퇴직금은 근속 기간과 평균 임금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근속기간이 1년 미만이면 퇴직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입사일
퇴사일
1일 평균임금

📘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

  • 입사일과 퇴사일, 1일 평균임금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근속기간과 퇴직금이 계산됩니다.
  • 근속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퇴직금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예상 퇴직금과 근속기간이 출력됩니다.

🔍 관련 용어 설명

  • 근속연수: 입사일과 퇴사일 기준으로 계산된 연 단위 근무기간
  • 일급: 월급을 30일로 나눈 값으로, 퇴직금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 퇴직금: 근속 1년 이상 근무자에게 지급되는 퇴직 시 정산 금액 (1일 평균임금 × 30일 × 근속연수)

실수령액 계산기

실수령액은 연봉과 비과세 수당, 부양가족 수, 세대주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4대 보험 및 세금 공제를 반영하여 실제로 받게 될 금액을 계산합니다.

연봉 (세전)
비과세 수당 (월)
부양가족 수
세대주 여부

📘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

  • 연봉(세전), 비과세 수당, 부양가족 수, 세대주 여부를 입력합니다.
  • 4대 보험 및 세금 공제를 반영하여 월 실수령액을 계산합니다.
  • 비과세 수당은 소득세 계산에 포함되지 않으며 실수령액에 더해집니다.

🔍 관련 용어 설명

  • 연봉: 세전 기준 연간 급여 총액
  • 비과세 수당: 식대, 교통비 등 과세 대상이 아닌 월별 수당
  • 실수령액: 연봉에서 세금과 4대 보험 등을 공제한 후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
  •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등

실업급여 계산기

실업급여는 퇴사 전 평균 일급, 근속기간, 연령에 따라 달라집니다. 각 항목을 입력하면 실업급여 지급액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퇴사 전 평균 일급
총 근속기간 (년)
연령

📘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

  • 퇴사 전 평균 일급, 근속기간(년), 나이를 입력합니다.
  • 법정 기준에 따라 일급의 60% × 지급일수로 수령 금액을 계산합니다.
  • 지급일수는 나이 및 근속연수에 따라 90~270일로 결정됩니다.

🔍 관련 용어 설명

  • 평균 일급: 퇴사 전 3개월간 평균 일급
  • 실업급여 지급일수: 근속기간 및 연령에 따라 결정되며 최대 270일
  • 수급요건: 이직 사유가 비자발적이고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요건 충족 시 지급

다음 이전